학습평가
1. 특수아동과 관련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③
③ 특수교육을 필요로 하는 사람의 범주에는 장애인만 포함되는 것은 아니다.( 2008년부터 시행되고 있는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은 아직 진단이 어려운, 장애 위험에 노출된 학령전 아동을 특수교육대상에 새롭게 포함시키고 '발달지체'로 규정하였다.
2. 장애와 관련된 용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③
①신체손상 : 신체기관 또는 심리기능이 감소되거나 신체의 구조가 상실된 경우를 말한다.
②기능장애 : 신체.심리적 손상에 의해 일상적 생활이나 과제수행이 어렵거나 불가능한 경우를 말한다.
③사회적 불이익 : 손상이나 무능력에 의한 개인이 겪는 불이익이 발생한 경우
④ 신체손상이 반드시 기능장애인 것은 아니다.
3. 특수아동의 분류와 관련된 내용이 옳은 것은?②
②'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과 '장애인복지법'의 장애분류에는 차이가 있다.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에서는 아동이 가지고 있는 장애가 학습하는 데 어려움이 있는지에 따라 분류한다. 장애인 복지법에서 제시하고 있는 장애영역은 일상생활을 영위하는 데 어려움이 있는지에 따른 분류라고 할 수 있다.
특수아동의 정의 : 장애에 대한 일반적인 개념은 신체손상, 기능장애, 사회적 불이익 이라는 용어로 설명할수 있다.
특수아동의 분류 :
①특수아동은 신체적인 특성이나 학습능력이 규준과 크게 달라서 개별화된 특수교육이 필요한 아동이며, 우리나라에서 사용하는 특수아동이란 용어에서 '특수'는 '장애'를 뜻한다.
②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에서는 특수교육대상자를 시각장애, 청각장애, 정신지체, 지체장애, 정서 행동장애, 자폐성장애, 의사소통장애, 학습장애, 건강장애, 발달지체의 10개 범주에 포함된 장애아동만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1. 통합교육의 발전과정과 관련된 내용으로 옳은 것은?①
①정상화 원리는 수용시설에 있던 장애인들을 지역사회로 이동시키게 되는 결과를 낳았다. ( 정상화는 장애인들이 일반인들의 환경과 같거나 유사한 환경에서 살아야 한다는 것을 강조한 이념이고, 일반교육주도는 1980년대에 주창되었다. 또한 부분통합이나 완전통합의 두 경우 모두 일반학급이 장애아동들의 원적학급이다. )
2. 통합교육의 단계를 분류한 것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②
일반교사와 특수교사는 일반학급의 진도에 맞추어 장애아동의 개별화교육프로그램을 확인하고 장애아동이 참여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야한다.
3.우리나라의 통합교육에 대한 법적정의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③
③ 통합교육의 목적을 특수교육대상학생이 자신의 개별적인 교육적 요구에 적합한 교육을 받는 것에 두고 있다.(통합교육의 대상은 특수교육대상자이고, 물리적 통합의 형태만이 아니라 통합교육을 동일한 공간에서 또래와 함께 교육을 받는 것으로 규정을 함으로써 특수교육대상학생이 학교의 구성원으로 수용되는 사회적 통합을 추구하며, 특수교육대상학생이면 누구나 통합교육을 받을 수 있다.
'공부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학점은행제]상담심리학 6차 인간중신 상담. (0) | 2020.04.29 |
---|---|
[학점은행제] 심리학개론2주차 신경과학과 행동 / 감각과 지각 요약정리 (0) | 2020.04.26 |
[학점은행제] 상담심리학 2주차 상담의 패러다임과 원리/상담장의 전문적자질과 인간적자질 4주차 정신분석 상담 (0) | 2020.04.24 |
[학점은행제] 인적자원관리 1.2주차 인적자원관리의 개념/ 인적자원관리의 전개과정 (0) | 2020.04.23 |
기업법 개설 문제해설 (0) | 2020.03.28 |